티스토리 뷰

반응형

건강보험료 계산은 개인의 소득 및 가구 구성원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. 아래는 건강보험료를 계산하는 기본적인 방법과 주요 항목입니다.

 

건강보험료 계산


1. 건강보험료 계산 항목

건강보험료는 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로 나뉘어 계산됩니다.

직장가입자

  • 보험료 산출 기준:
    • 소득월액(급여): 월급여 총액에 따라 산정.
    • 보험료율: 매년 변경되며, 2024년 기준 보험료율은 7.09% (본인부담은 이 중 50%). 2025년 보험료율 동결
  • 산정 방식:
    • 월급 × 보험료율 = 총보험료
    • 총보험료 ÷ 2 = 본인 부담 보험료

지역가입자

  • 보험료 산출 기준:
    • 소득: 사업소득, 재산소득, 이자소득 등.
    • 재산: 부동산, 자동차 등 자산 규모.
    • 생활 수준 및 경제활동참가율: 연령, 가족 수 등을 고려.
  • 산정 방식:
    • 소득 및 재산을 점수화하여 점수당 금액으로 보험료 계산.

2. 계산 예시

직장가입자

  • 월급: 400만 원
  • 보험료율: 7.09%
  • 계산:
    • 총보험료: 400만 원 × 7.09% = 28,360원
    • 본인 부담: 28,360원 ÷ 2 = 14,180원

지역가입자

  • 소득: 연 소득 3,600만 원
  • 재산: 1억 원(부동산)
  • 자동차: 2,000cc 승용차
  • 계산: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점수 기준과 점수당 금액을 적용해 산출됩니다. 이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서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.

3. 계산 방법 활용

직장가입자

  •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기: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를 이용하면 정확한 본인 부담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지역가입자

  • 지역 건강보험료 계산기: 지역가입자의 소득과 재산 정보를 입력하면 예상 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.

 


4. 추가 참고 사항

  • 노인장기요양보험료: 건강보험료에 따라 추가로 부과(2024년 기준 12.81%).
  • 보험료 경감 제도: 저소득층, 장애인, 다자녀 가구는 경감 혜택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.
  • 확인 및 조정: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(1577-1000)에서 상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위 방법으로 본인의 건강보험료를 대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더 구체적인 계산이 필요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활용하거나 고객센터에 문의하세요!